본문 바로가기
건강 케어

강아지 슬개골 탈구, 원인부터 수술 후 관리까지

by coManiMals 2025. 9. 9.
반응형

강아지 슬개골 탈구, 원인부터 수술 후 관리까지

강아지 슬개골 탈구, 원인부터 수술 후 관리까지

슬개골 탈구란 무엇인가요?

슬개골 탈구는 강아지의 무릎골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빠지는 관절 이상을 의미합니다. 슬개골(patella)은 우리가 흔히 '무릎뼈'라고 부르는 작은 원반 모양의 뼈로, 허벅지뼈와 정강이뼈 사이에서 무릎관절을 보호하고 다리 움직임을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국내에서 주로 키우는 몰티즈, 포메라니안, 푸들 등 소형견이 잘 걸리는 질환으로, 반려견을 키우는 보호자들에게 매우 흔하게 알려진 질병 중 하나입니다.

 

1. 슬개골 탈구의 주요 원인

 

1) 선천적 원인 (유전적 요인)

  • 품종적 특성: 소형견종(몰티즈, 포메라니안, 치와와 등)은 슬개골이 안쪽으로 빠지는 내측탈구가 선천적으로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는 품종 개량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전적 특성으로, 뼈의 구조나 근육의 발달 상태가 영향을 미칩니다.
  • 해부학적 구조: 활차구(trochlear groove, 슬개골이 들어가는 홈)가 얕거나, 대퇴골(허벅지뼈)의 각도 이상, 경골조면(정강이뼈 돌출 부분)의 위치 이상 등이 원인이 됩니다.

 

2) 후천적 원인 (환경적 요인)

  • 외상: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갑작스러운 점프, 미끄러짐 등으로 인한 외부 충격
  • 비만: 과체중으로 인한 관절 부담 증가
  • 운동 부족: 근육량 부족으로 인한 관절 지지력 약화
  • 환경적 요인: 미끄러운 바닥에서 생활하면 슬개골 탈구가 더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슬개골 탈구 4단계 증상 분석

 

1단계 (Grade 1): 경미한 탈구

  • 증상: 평소에는 정상이나 수의사가 손으로 밀면 탈구되고 손을 떼면 제자리로 돌아옴
  • 행동 변화: 거의 눈에 띄지 않음, 가끔씩 다리를 살짝 들기도 함
  • 치료 필요성: 보존적 치료로 관리 가능

2단계 (Grade 2): 중등도 탈구

  • 증상: 뒷다리를 들어요, 다리를 절어요, 깨금발로 걸어요, 깽깽이걸음으로 걸어요
  • 행동 변화: 산책 중 자꾸 멈추려 하거나, 뒷다리를 들고 걸었다가 다시 걷는 행동
  • 치료 필요성: 약물치료와 운동 제한 필요

 

3단계 (Grade 3): 심한 탈구

  • 증상: 슬개골이 대부분 탈구된 상태로 있으며, 손으로 밀어 넣을 수는 있지만 금세 다시 빠짐
  • 행동 변화: 지속적인 절뚝거림, 뒷다리 사용을 꺼림
  • 치료 필요성: 수술 고려 필요

 

4단계 (Grade 4): 완전 탈구

  • 증상: 슬개골이 완전히 탈구되어 손으로도 제자리로 밀어 넣기 어려움
  • 행동 변화: 뒷다리의 외형변화가 눈에 띄며, 심한 통증과 보행 불가
  • 치료 필요성: 즉시 수술 필요

 

3. 진단 방법

1) 임상 검사

촉진 검사: 수의사가 직접 슬개골을 만져보며 탈구 정도를 확인 보행 관찰: 강아지의 걸음걸이와 자세를 종합적으로 평가

 

2) 영상 검사

X-ray 촬영: 뼈의 구조적 이상과 관절염 정도를 확인 CT 스캔: 복잡한 경우 정밀한 3차원 구조 분석 (필요시)

 

 

4. 치료 방법

1) 보존적 치료 (1-2단계)

약물치료: 염증을 없애거나 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소염진통제: 통증과 염증 완화
  • 연골보호제: 관절 연골 건강 유지
  • 근육이완제: 근육 긴장 완화

관절 주사: 관절염이 심한 경우는 주기적으로 주사를 넣어서 염증을 없애는 방법도 있습니다.

물리치료: 수영, 마사지, 냉온찜질 등으로 근육 강화와 통증 완화

 

2) 수술적 치료 (3-4단계)

통증이 심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경우는 수술을 시행합니다.

수술 방법:

  • 활차구 성형술: 슬개골을 정상 위치에 고정하고 관절의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슬개골이 들어가는 홈을 깊게 파는 수술
  • 경골조면 이식술: 경골조면의 위치를 조정하여 슬개골의 정렬을 바로잡는 수술
  • 연부조직 재건술: 인대와 관절낭을 조정하여 슬개골을 안정화

수술 성공률: 슬개골탈구는 수술로 인해 대부분 완치됩니다.

 

5. 수술 후 관리 및 재활치료

 

1) 초기 관리 (수술 후 2주)

  • 안정: 케이지 안에서 절대 안정, 과도한 활동 금지
  • 상처 관리: 수술 부위 청결 유지, 핥기 방지용 엘리자베스 칼라 착용
  • 약물 복용: 항생제, 진통제 정확한 시간에 투여

 

2) 재활치료 단계

수술한 다리가 위쪽으로 가도록 강아지를 눕힌 후 다리 사이에 쿠션을 끼워 다리를 수평보다 약간만 올린 채로 10분 정도 쉬게 해 주고, 같은 자세로 눕힌 후 발끝부터 몸통 쪽으로 손가락으로 가볍게 5분 정도 쓸어주기

  • 1-2주차: 부종 관리, 가벼운 마사지
  • 3-4주차: 관절 가동범위 운동
  • 5-8주차: 근력 강화 운동
  • 8주 이후: 점진적인 일상 활동 복귀

재활치료를 하면 4단계 증상을 3단계 정도로 완화해 수술예후를 보다 좋게 할 수 있습니다.

 

6. 예방 방법

 

1) 환경 개선

  • 바닥 관리: 미끄럼방지 매트를 강아지 활동 반경에 전체적으로 넓게 깔아주기
  • 계단 설치: 침대나 소파에 계단 같은 걸 이용해서 아이가 무릎에 무리가 안 가게 하기
  • 점프 제한: 높은 침대나 소파에 올라갔다가 아래로 껑충 점프하거나, 서서 두 발로 뛰는 상황들을 피하게 하기

 

2) 운동 관리

  • 적절한 운동량: 하루 20-30분 정도의 가벼운 산책
  • 수영: 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는 최고의 운동
  • 근력 강화: 수의사 지도하에 적절한 근육 강화 운동

 

3) 체중 관리

  • 적정 체중 유지: 정기적인 체중 측정과 사료량 조절
  • 영양 균형: 관절 건강에 도움되는 오메가-3,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보충

 

7. 치료 비용 및 예후

 

1) 치료 비용

슬개골 탈구 수술 비용은 수의사의 경력, 진행 단계에 따라 비용이 달라집니다.

  • 보존적 치료: 월 10-30만원 (약물비, 물리치료비)
  • 수술 치료: 편측당 80-200만원 (병원과 수술 방법에 따라 차이)
  • 재활치료: 월 20-50만원 (치료 기간과 방법에 따라 차이)

2) 예후

  • 조기 발견 시: 90% 이상의 좋은 예후
  • 적절한 수술 시: 85-95%의 성공률
  • 재활치료 병행 시: 재발률 5% 이하

 

 

전문가 조언

 

수술 후 반려견 상태에 따른 재활치료 계획을 세워야 하며, 수술을 했다고 금방 통증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므로 수술 후 재활치료는 필수입니다.

슬개골 탈구는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가 핵심입니다. 우리 강아지가 평소와 다른 걸음걸이를 보인다면 즉시 동물병원에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예방이 치료보다 훨씬 중요하므로, 일상생활에서 관절 건강에 신경 쓰며 건강한 반려견 생활을 만들어가세요.

 

 

 


  • 뉴스1 (2024). "강아지 슬개골 탈구, 재발 막으려면… 조기 수술·재활 치료 필요"
  • 바이오타임즈 (2025). "강아지 슬개골 탈구! 수술 꼭 해야 하나요?"
  • 핏펫 (2025). "강아지 슬개골 탈구의 증상과 치료, 예방"
  • 바잇미 블로그 (2025). "강아지 슬개골 탈구 증상 4단계와 예방 방법"
  • 헬스경향 (2024). "슬개골탈구수술 후 집에서 할 수 있는 초기재활 가이드"
  • CP동물병원 (2019). "소형견에게 자주 걸리는 슬개골탈구 어떻게 치료하고 예방할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