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케어

반려견, 가족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by coManiMals 2025. 9. 29.
반응형

 

반려견, 가족 정신 건강에 미치는 효과

반려견, 가족 정신 건강에 미치는 효과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시기, 전 세계 많은 가족들이 정신건강 개선을 위해 강아지를 입양했습니다. 과연 이러한 '판데믹 퍼피(Pandemic Puppies)' 열풍이 가족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요? 영국에서 대규모로 진행된 흥미로운 연구의 놀라운 진실을 알아보겠습니다.

 

1. 판데믹과 함께 찾아온 반려동물 열풍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반려동물 입양이 급증했습니다. 특히 가족 단위의 강아지 입양이 두드러졌는데, 그 배경에는 봉쇄조치로 인한 정신건강 문제가 있었습니다. 성인과 아동 모두에서 나타난 정신건강 악화는 많은 가족들이 네 발 달린 새로운 가족구성원을 찾게 만들었습니다.

영국의 경우, 판데믹 퍼피를 입양한 가족 중 38%가 자신이나 가족의 정신건강 개선을 목적으로 했다고 응답했습니다. 정신건강 문제가 영국 경제에 연간 최소 1,179억 파운드(약 190조원)의 비용을 발생시키는 상황에서, 반려동물은 매우 매력적인 해결책으로 여겨졌습니다.

 

 

2. 연구가 밝힌 복합적 현실

PLOS ONE 학술지에 발표된 이번 연구는 영국의 382명의 보호자와 216명의 8-17세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19년과 2020-2021년 사이에 강아지를 입양한 가족들의 경험을 심층 분석한 결과, 예상보다 훨씬 복잡한 현실이 드러났습니다.

주요 연구 결과:

보호자 특성: 강아지의 주 돌봄자 95%가 여성

기대와 현실의 차이: 보호자의 37.3%가 강아지 키우기가 예상보다 어렵다고 응답

초보 견주의 어려움: 처음 개를 키우는 가족이 경험 있는 가족보다 훨씬 많은 도전에 직면

물어뜯기 위험: 거의 모든 아이들이 이전 연구에서 물림 사고 위험을 높인다고 알려진 행동들을 허용받고 있음

 

 

3. 긍정적 효과: '무조건적 친구'의 힘

연구진은 자유응답 분석을 통해 세 가지 주요 테마를 발견했습니다.

그것은 '무조건적 친구(The unconditional friend)'라는 테마로, 한 보호자의 표현에서 따온 것입니다.

 

아이들이 경험한 긍정적 효과들

  • 정서적 안정: 외로움, 불안, 슬픔을 달래주는 동반자 역할
  • 신체적 교감: 안아주기, 쓰다듬기, 함께 자기 등을 통한 위안
  • 사회적 기능: 친구, 놀이 파트너, 형제자매 대체 역할
  • 스트레스 해소: 일상의 긴장감 완화와 정신적 위안

한 11세 소년은 "누군가와 놀 수 있고, 쓰다듬을 수 있고, 비밀을 털어놓을 수 있고, 나를 위로해 주는 존재"라고 강아지를 표현했습니다. 또 다른 11세 소년은 "부모님이 바쁠 때 대화할 수 있는 누군가가 항상 거기 있었고, 지루할 때면 함께 있어줬다"라고 회상했습니다.

특히 신경다양성을 가진 아이들이나 형제자매가 없는 외동 아이들에게서 강아지와의 특별한 유대관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한 보호자는 "우리 아이는 개들이 그 위에 누워있는 것을 좋아하는데, 마치 무게감 있는 담요 같다. 스트레스받을 때마다 개들을 안으면서 마음을 진정시킨다"라고 설명했습니다.

 

 

4. 예상보다 어려운 현실, 두 가지 주요 도전

1) 돌봄 책임의 혼재, "누구 책임인가?"

많은 보호자들이 아이들이 강아지 돌봄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현실은 달랐습니다. 보호자의 49.2%가 적어도 한 가지 측면에서 아이들의 참여가 기대보다 적다고 응답했습니다.

 

아이들의 돌봄 참여 현실

  • 산책: 기대보다 11.9% 더 적은 참여
  • 먹이주기: 기대보다 9.6% 더 적은 참여
  • 청소년기 진입과 함께 관심 감소
  • 팬데믹 기간 중 부모가 재택근무로 바쁠 때 일시적 책임 증가

한 여성 보호자는 "강아지가 얼마나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지 몰랐다. 특히 정신적 부담이 컸다. 병원 예약, 사료 구입, 걱정하기... 명백히 산책에 필요한 추가 시간까지. 팬데믹 기간 중 세 아이를 홈스쿨링하면서 개를 산책시켜야 했던 것은 특히 문제였다"라고 토로했습니다.

 

2) 안전 관리의 어려움, "모두를 안전하게 지키기"

많은 보호자들, 특히 초보 견주들이 강아지와 아이들 사이의 안전한 경계 설정에 예상보다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에 놀랐습니다.

 

주요 안전 이슈들

  • 강아지의 물어뜯기와 뛰어오르기 행동의 빈도와 심각성
  • 아이들이 도망가려 할 때 악화되는 강아지의 흥분 상태
  • 아이들의 강아지 불편함 신호 해석 능력 부족
  • 방문하는 다른 아이들과의 상호작용 관리

한 13세 소녀는 "강아지 때는 정말 날카로운 이빨 때문에 뛰어오를 때 좀 무서웠어요. 장난으로 하는 거라는 걸 알지만 가끔 물면 아팠거든요"라고 회상했습니다.

 

 

5. 다양한 영향

또하나의 테마인 '한 가족, 한 마리 개, 다양한 영향'은 가족 구성원 각각이 같은 강아지와 서로 다른 관계를 맺으며, 이것이 가족 전체의 역학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을 보여줍니다.

 

가족 내 차별적 관계의 예시

  • 나이가 많은 아이: 돌봄과 책임에 대한 언급이 많음
  • 나이가 적은 아이: 신체적 교감과 놀이에 대한 묘사가 많음
  • 성인: 가족 결속력과 개인적 위안에 대한 언급
  • 일부 가족 구성원: 스트레스나 두려움 경험

한 여성 보호자는 "개의 반응성과 혼자 있기 어려워하는 특성이 때때로 내 삶을 심각하게 제약했다. 그 결과 학교 행사 등에 참석하기 어려웠고, 개 때문에 스트레스받아서 아이에게 덜 참을성 있게 대했을 것이다"라고 솔직하게 고백했습니다.

 

 

6. 성공적인 가족 반려견 생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들이 고려해야 할 실용적 조언들을 제시해 보겠습니다

 

1) 입양 전 준비사항

① 가족회의를 통한 역할과 책임 분담 논의

② 아이들의 나이와 능력을 고려한 현실적 기대 설정

③ 초보 견주라면 전문가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 참여

④ 충분한 시간과 경제적 여유 확보

 

2) 안전한 상호작용 가이드라인

① 강아지의 바디랭귀지와 스트레스 신호 교육

② 강아지만의 안전한 공간 확보

③ 성인의 지속적인 감독 하에서만 밀접한 접촉 허용

④ 정기적인 훈련 프로그램 참여

 

3) 가족 역학 관리

① 각 가족 구성원의 서로 다른 관계 인정하고 존중

② 주 돌봄자(주로 어머니)의 부담 분산을 위한 체계적 지원

③ 아이들의 성장에 따른 관계 변화 수용

④ 정기적인 가족회의를 통한 문제점 논의와 해결

 

 

7.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이 연구는 기존의 단순한 '개-주인' 이원 관계 모델을 넘어,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한 포괄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특히 아이들의 목소리를 직접 들었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진전입니다.

하지만 몇 가지 한계점도 있습니다. 회고적 연구 방법으로 인한 기억 편향, 이미 강아지를 포기한 가족들의 경험 누락, 그리고 2019년 그룹의 응답자 수가 적어 통계적 비교에 제약이 있었습니다.

 

신중한 결정이 필요한 가족 반려견

이 연구는 반려견이 가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단순히 긍정적이지만은 않다는 중요한 현실을 보여줍니다. 많은 아이들이 강아지와의 관계에서 위안과 행복을 얻는 것은 분명하지만, 동시에 예상치 못한 도전들도 함께 따라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강아지 돌봄이 주로 '여성의 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것이 어머니들의 정신적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95%의 주 돌봄자가 여성이라는 통계는 이러한 현실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따라서 가족의 정신건강 개선을 위한 반려견 입양을 고려한다면, 충분한 준비와 현실적 기대, 그리고 지속적인 지원 체계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가족 모든 구성원의 안전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한 신중한 결정이 중요합니다.

강아지는 분명히 가족에게 무조건적인 사랑과 위안을 줄 수 있는 소중한 존재입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 도전들을 미리 인지하고 준비한다면, 더욱 건강하고 행복한 인간-반려동물 관계를 만들어갈 수 있을 것입니다.

 

 


 

  • PLOS ONE. Belshaw Z, Brand CL, O'Neill DG, Packer RMA (2025). "More than just one man and his dog: The many impacts of puppy acquisition on the mental health of families including children in the UK." PLOS ONE 20(9): e0331179.
반응형